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 자격증

평생교육 실습 '모의프로그램' 개발 계획 타당성분석 방법

by 토사부 2023. 3. 15.

평생교육실습 오리엔테이션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실습기관에 대해 알아가며 실습생의 신분이지만 추후 앞으로 어떤 평생교육사가 될지에 대해서도 서서히 구체화시키고 있을 것입니다. 평생교육사로써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기관과 지역특성에 맞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 수요자들에게 제공합니다. 물론 평생교육프로그램이 최종 제공되기 전에 넘어야 하는 산들이 많기는 합니다. 프로그램 개발하여 기관토의 통하여 의견 수렴 후 수정하고 기관 예산에 맞는지도 검토하여 최종 결정이 납니다. 중간에 평가에 관한 부분도 중요합니다. 

모든 것에서는 시초가 필요하고 평생교육사가 되기 위한 실습과정에 '모의프로그램'이 있는 것도 현장에 나가 적합한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시행을 해 보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모의프로그램' 개발은 바로 계획 세우면 될까요?

먼저 자신이 개발하려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 프로그램에 대한 타당석 분석을 하는 것입니다. 
 

평생교육실습 모의프로그램 개발
평생교육 실습일지

타당성 분석은 어떻게 하는 것일까요 ? 

프로그램 개발을 하기 전 타당성분석은~~
왜 이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되는지에 대한 필요성을 검토하고
개발을 추진해야할지 말아야할지를 결정하게 되지요.


평생교육프로그램 타당성은 시대적 맥락과 평생교육운영기관 그리고 정책성, 학습자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는 과정입니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프로그램의 가치에 대한 객관적 논리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므로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입니다.
 

프로그램 타당성은 여러 범주로 나누어 분석합니다.

시대적·사회적 맥락 차원에 대해 프로그램 내용에 대해 정래해보고 학습자 요구 및 필요차원은 무엇인지 정리해야 합니다. 그리고 교육 프로그램 운영기관 차원에서 개발하려는 프로그램이 필요한 이유가 명확해야 합니다. 시대적인 상황을 반영하였다면 정부와 상부기관의 정책 방향과도 맞는다면 호응을 잘 얻어낼 수가 있습니다.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 개발자가 단독으로 계획하고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닌 것입니다.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 검토를 위하여 분석 자료를 정리합니다. 
프로그램의 주제를 정하고 사회적 요구와 기관의 요구, 그리고 개발자의 요구에 따른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체계적으로 나열해봅니다. 프로그램개발의 목적은 무엇으로 정리할것인지에 대해 고민을 철저히 합니다. 목적을 그냥 머릿속에서만 맴돌게 하는 것이 아니라 서면으로 작성하는 것은 개발자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토대가 됩니다. 
개발하려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기존에 있는 유사 프로그램이 있는지 알아보고 유사프로그램이 있다면 차이점이 무엇인지 정리합니다. 유사프로그램이 있지만 차별화할 수 있는 요소를 고민하고 현실성 있는 요소를 가미하면 됩니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장애요인과 기대효과를 세부적으로 고민하고 정리합니다. 
 
프로그램에 대한 타당성 분석이 있어야 개발하려는 프로그램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 말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타당성 분석이 끝났다면 요구분석을 해야겠지요


그렇다면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어떤 과정을 거치치는 정리해 봅니다. 

앞서 프로그램 필요성에 대해 분석했다면 그 다음은 요구조사, 그리고 환경분석 및 상황분석을 합니다. 그 후 프로그램을 선정하게 됩니다. 구체적으로 대상 및 인원, 목적 및 목표, 프로그램의 개요와 일정 그리고 프로그램 세부내용을 정리합니다. 기관이나 지역사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 무엇인지 찾거나 발굴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예산편성을 하고 프로그램 홍보를 합니다. 평가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과정과 성과, 만족도조사로 프로그램의 평가를 알아봅니다. 그것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프로그램 필요성

요구조사

환경분석 및 상황분석

프로그램 선정 (대상 및 인원, 목적 및 목표, 개요, 일정, 프로그램 세부내용)

자원활용

예산 편성

홍보

평가(과정, 성과, 만족도조사 등)

 
무턱대고~~  요즘 트렌드는 이것이다.. 하여 프로그램을 만들어 실행하거나, 다른 기관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는데 수욪들에게 인기가 있다고 하여 따라 만들어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기관과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을까요?  위에서 프로그램의 타당성 분석을 했다면 요구분석을 해야 할 차례입니다. 
다시 정리하면 프로그램을 개발을 하기 전에 타당성 분석을 먼저 합니다. 그 후 하는 요구분석에 대해서는 다음에 알아보겠습니다. 

 

댓글